브라우저에 특정 도메인(www.naver.com)을 입력하면?
대기열, 캐싱, DNS, 라우팅, ARP, 초기연결을 거쳐 컨텐츠를 다운받게 되고 이 후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을 거쳐 네이버라는 화면이 나타나게 됩니다. 대기열 브라우저는 주소창 입력에 대한 요청을 대기열에 넣습니다. 캐싱 요청된 값의 결과값을 저장하고, 그 값을 다시 요청하면 저장해 둔 값을 다시 제공하는 기술. 다시 불러오지 않아도 되므로 속도 개선 효과가 있음. 공유 프록시 캐싱 요청한 서버에서 프록시서버가 캐싱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. ex) Node.js 서버의 경우 앞단의 프록시 서버로 nginx 서버를 둬서 이 서버를 캐싱 서버로 사용하는 경우 브라우저 캐시 쿠키, 로컬스토리지 등을 포함한 캐시이다. 브라우저 자체가 HTTP를 통해 다운로드하는 모든 문서를 보유하는 것을 말한다. DNS 조회 ..
공부
2023. 1. 18. 18:19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이진탐색
- 이코테
- 기초
- TypeScript
- 상태관리
- 소프티어
- 파이썬
- css
- 자바스크립트
- 노마드코더
- level1
- Hook
- springboot
- 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
- 프로그래머스
- CS
-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테스트다
- nomadcoder
- dfs
- level3
- 이것이코딩테스트다
- programmers
- CORS
- html
- React
- axios
- reactjs
- redux
- React.FC
- JavaScript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